건강보험료 산정 기준은?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를 직접 계산해볼게!

국민은 소득 대비 건강보험료 부담이 크다고 말한다.
현재 보험료율이 7%대에 진입했지만 법정 상한선은 8%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 곧 법정 상한선 8%를 손질할 때가 온 것 같기도 하다.
점점 고령화가 진행될텐데 건강보험료 부담이 훨씬 늘어날 것 같아.

저 같은 경우 소득도 별로 없는데 한 달에 약 9만원 정도의 건강보험료가 발생한다.
아직 젊으니까 병원도 잘 안 가고 건강보험료 납입하는 게 지금은 정말 아까운데 내가 나중에 늙으면 지금 낸 걸로 병원을 싸게 다닐 수 있을 것 같아서 또 필요한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오늘은 기사님을 보고 궁금하고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는 어떻게 보험료를 내는지 직접 계산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2. 직장인 가입자 보험료 계산 3. 직역가입자 보험료 계산

1.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1.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대한민국 의료서비스가 저렴하고 최고라는 것은 누구나 인정한다.
그것이 모두 건강보험료를 평소에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건 의무이기 때문에 나는 절대 가입하지 않는다는 건 불가능해. 그리고 모든 국민에게 동등한 부담을 지우지 않고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보험료 차등납부를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보장은 누구나 균등하게 받을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사회보장서비스라 할 수 있다.
<직장가입자보험료산정기준>

우선 한 달에 내는 국민건강보험료의 경우 월급×보험료율을 해서 납부하게 된다.
보험료율은 모든 국민에게 동일하기 때문에 월급이 많을수록 보험료를 많이 내야 한다.
보험료율은 1만분의 709이라고 하는데 퍼센트로 계산하면 7.09%. 그리고 현재 대한민국 국적으로 국외에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은 보험료율이 5%. 아무래도 국외에서는 병원 이용이 안 되니 보험료를 줄여주는 것 같다.

제 월급에 7.09%를 곱해보면 실제로 제가 내는 것보다 많이 나오니까 찾아보니까 근로자와 사용자가 각각 50%씩 부담하고 실질적으로 저는 한 3.5% 정도 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건강보험료는 2023년에도 조금 올랐지만 2014년부터 거의 매년 인상되고 있다.
아마 곧 8% 상한선이 될거야. <지역가입자보험료 산정기준>

지역가입자는 직장가입자 및 피부양자를 제외한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농업인 등 사람들이 가입하는 건강보험이다.
소득, 재산, 자동차에 따라 점수를 매기고 그 점수에 곱하는 208.4원을 해서 보험료를 징수한다.
연소득이 336만원이 되지 않으면 즉 월 30만원도 벌지 못할 경우 건강보험료는 19,780원을 부과한다.
그리고 연소득이 만약 336만원을 넘어서게 되면 기본점수 95.25에 1만원을 초과하는 소득 336만원당 0.2835점을 부과하는 것이다.
만약 연소득이 6억6199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만 점수가 18768.13점인데 여기에 208.4를 곱하면 391만원을 건강보험료로 내야 한다.
앞으로 직접 한번 예를 들어 건강보험료 계산을 해본다.
2. 직장가입자보험료계산

지역가입자는 직장가입자 및 피부양자를 제외한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농업인 등 사람들이 가입하는 건강보험이다.
소득, 재산, 자동차에 따라 점수를 매기고 그 점수에 곱하는 208.4원을 해서 보험료를 징수한다.
연소득이 336만원이 되지 않으면 즉 월 30만원도 벌지 못할 경우 건강보험료는 19,780원을 부과한다.
그리고 연소득이 만약 336만원을 넘어서게 되면 기본점수 95.25에 1만원을 초과하는 소득 336만원당 0.2835점을 부과하는 것이다.
만약 연소득이 6억6199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만 점수가 18768.13점인데 여기에 208.4를 곱하면 391만원을 건강보험료로 내야 한다.
앞으로 직접 한번 예를 들어 건강보험료 계산을 해본다.
2. 직장가입자보험료계산

우선 건강보험공단을 검색해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건보료 모의 계산이 가능하다.
본인이 올해 벌어들일 소득을 가지고 직접 계산을 해보면 된다.

월급은 월 250만원으로 책정하고 주말에 아르바이트를 해서 직장외 근로소득 80만원이 발생하는 사람이 있다고 계산해 본다.
그렇다면 과연 얼마나 건강보험료가 나올까?

예상 직장보험료는 약 10만원 정도다.
직장 외 근로소득의 경우 50%만 보험료 산정에 반영된다.
즉 80만원을 받았지만 보험료 부과 대상은 40만원에 대해서만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그렇게 월 340만원 정도 벌게 되면 약 10만원 정도의 건강보험료를 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장인 건강보험료의 경우는 워낙 기준도 명확하고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깔끔하게 떨어진다.
그럼 이제 지역가입자 보험료 계산 차례!
3) 지역가입자보험료계산

예상 직장보험료는 약 10만원 정도다.
직장 외 근로소득의 경우 50%만 보험료 산정에 반영된다.
즉 80만원을 받았지만 보험료 부과 대상은 40만원에 대해서만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그렇게 월 340만원 정도 벌게 되면 약 10만원 정도의 건강보험료를 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장인 건강보험료의 경우는 워낙 기준도 명확하고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깔끔하게 떨어진다.
그럼 이제 지역가입자 보험료 계산 차례!
3) 지역가입자보험료계산지역가입자의 경우 소득, 재산, 자동차 등에 따라 점수를 부과하기 때문에 이 같은 내역을 상세히 입력해야 한다.
자동차의 경우 장애인은 면제되고 화물차와 특수차, 승합차는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리고 또 9년 이상 차값이 4,000만원 미만이면 또 보험료 면제다.
대략 1년에 4,000만원 정도 번다고 해서 자동차도 없고 집도 없고 아무것도 없다고 해봤다.
20~30대 직장인 기준으로 이만큼 넣어봤는데 과연 보험료는…?우와..지역 가입자는 훨씬 보험료를 많이 냈다.
나이 4,000만원에서 336만원을 제외한 3,664만원을 들여0.2835를 하면 약 1,038점이 나오고, 여기에 기본 점수 92점을 보태면 약 1,130점이 나온다.
마지막으로 이 점수를 걸208.4원을 하면 위의 금액이 나온다.
만약 재산까지 하다면 훨씬 많이 나왔다고 생각한다.
이럴 때는 회사원인 것을 감사해야 할까…?지금까지 건강 보험료 산정 기준 및 회사원 가입자과 지역 가입자를 나누고 보험료 모의 계산까지 했다.
소득이 올라갈수록 보험료를 많이 내게 되는데, 후에는 이것이 아까울 것 같기도 하다.
그렇다고 병원에 잘 다니면서 보험료를 받다니, 굳이 이것 때문에 아프지 않다!
돈보다는 건강하시니 모두 수난 이치 피하고 조심해서 좋은 하루 보내세요